[태그:] 스왑파일

  • 리눅스 스왑파일 만들기

    우분투 18.04 기준입니다.

    스왑용량이 부족하거나 설치시 별도의 스왑파티션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간단히 스왑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시스템 관련 작업이므로 root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가정하겠습니다.

    $ sudo -i

    다음과 같이 fallocate 를 이용해 원하는 용량의 스왑파일로 사용할 빈 파일을 만듭니다. (보통 장착된 램의 두배정도) 여기서는 간단히 8GiB 짜리 스왑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 fallocate -l 8G /.swapfile

    dd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식도 있는데 fallocate 가 더 간편하고 빠르더군요.

    보안을 위해 스왑 파일의 권한을 제한합니다.

    # chmod 0600 /.swapfile

    아래와 같이 스왑 파일을 생성합니다.

    # mkswap /.swapfile
    Setting up swapspace version 1, size = 8 GiB (8589930496 bytes)
    no label, UUID=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현재 시스템에 스왑 파일 바로 적용해 봅니다.

    # swapon /.swapfile

    위와 같이 하고 free 명령어로 스왑이 적용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free -h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15G         11G        173M        471M        3.8G        3.4G
    스왑:        8.0G          0B        8.0G

    이상태에서 리부팅하면 스왑파일 설정은 사라져 버립니다. ㅜㅜ; 시스템 리부팅시 자동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etc/fstab을 아래와 같이 열어 편집합니다.

    # vi /etc/fstab

    (vi 편집기 사용법: Shift 키 + G (대문자 G) 를 누르고 o 를 입력하면 마지막줄에 새로운 줄을 추가해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 을 맨 밑줄에 추가합니다.

    /.swapfile none swap sw 0 0

    (vi 편집기 사용법: 모두 적었으면 Esc 키를 누르고 나서 :wq 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저장할 수 있습니다.)

    저장해 두면 이제 리부팅 후에도 스왑파일을 자동으로 시스템에서 스왑 영역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Adblock Detected!

Our website is made possible by displaying online advertisements to our visitors.
Please consider supporting us by whitelisting our website.